select * from Gn_Newwin where '2023-10-01 21:45:26' between nw_begin_time and nw_end_time and nw_lang = 'ko' order by nw_id asc

팝업레이어 알림

유튜브 팝업창

Develop a new drug for someone Who might be suffering somewhere in the world.

DESIGNING DRUG COMBINATION
FOR ORPHAN DISEASE PATIENTS

MORE ABOUT US
  • THE MULTI-PRONGED APPROACH

    Let's open up new markets and revenue streams by predicting more than one promising indication for a drug candidate at the early development stage. We are a specialized discovery team with novel technologies and unique massive bio-pharmacological data resources for discovering hidden possibilities of drugs.

  • DRUG COMBINATION

    Two major causes of failure in clinical trials are lack of safety (~45% failure rate in Phase I) and efficacy (~65% failure rate in Phase II). A synergistic drug combination increases the efficacy of the therapeutic effect and reduces toxicity as a result of decreased dosage. Using our unique Multi-Strategy Drug Repositioning System, we will find the most synergistic drug partner that will target multiple pathological networks with your drug.

  • ORPHAN DISEASE

    In the process of researching for orphan diseases, one may come across the problem of a lack of information. That's where we step in. We can predict the pathological networks and suggest suitable drugs for diseases, on which you may have limited knowledge.

TECHNOLOGY

Our Special Technology

NEWS

Recent news & Event

닥터노아바이오텍, 복합제 전략 \'부작용 개선\' 방점

오심·구토·소화기계 영향+용법 난항 극복할 실마리 'AI플랫폼'으로 발굴레켐비와 아두헬름의 연이은 출시 이후, FDA 승인을 받은 기존 알츠하이머 치료제 시장에도 '생존'을 위한 변화가 목격됐다. 가깝게는 복용편의성을 개선하거나 제형 변경을 통해 남아있던 처방 시장을 지키는 것, 그리고 일종의 '합종연횡'까지 나타났다.요지는 기출시 약을 복합해 처방할 수 있는 길을 만드는 것이었다. 대증요법의 대표주자인 도네페질과 메만틴을 묶거나 그 외 약물과의 변주를 택하는 형태다. 그러나 화학적 결합인 만큼 효능과 부작용을 고려해야 했고, 복합제 개발도 용이한 일은 아니다. 닥터노아바이오텍은 독자 플랫폼으로 '합종연횡의 길'을 개척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AI 앞세워 CNS 중심 파이프라인 구축… 구심점 자리한 '스트로크+디멘시아'닥 ...

MORE ABOUT US

닥터노아바이오텍, 캐시카우 \'뇌졸중\' 신약 임상 전략

NDC-002 임상 1상 완료…'뇌신경 염증 감소' 등으로 차별화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기업 닥터노아바이오텍이 뇌졸증 복합제 개발에 임상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국내 임상 1상을 마무리하고 올해 안으로 글로벌 임상 2상을 진입한다는 계획이다. 뇌신경 염증 감소와 세포 분화에 초점을 맞춰 환자의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차별화한다는 전략이다.2016년 설립된 닥터노바이오텍은 컴퓨터사이언스와 약학을 전공한 이지현 대표가 이끌고 있는 AI 기반 신약개발 회사다. 뇌졸중 신약 후보물질 'NDC-002'를 비롯해 NDC-011(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NCD-023(듀센 근이영양증) 등을 파이프라인으로 확보했다.◇뇌줄증 파이프라인 'NDC-002' 임상 1상 완료...임상 2상 글로벌에서 진행닥터노아바이오텍은 뇌졸중 회복 치료제로 개발 중인 복합제 파이프 ...

MORE ABOUT US

닥터노아바이오텍, 뇌졸중 신약후보 \'NDC-002\' 임상 1상 완료

올해 美 FDA와 글로벌 임상 2상 임상시험 사전미팅 진행 예정닥터노아바이오텍(대표이사 이지현)은 뇌졸중 회복 치료제로 개발 중인 복합신약 ‘NDC-002’의 임상 1상을 완료했다고 21일 밝혔다. 닥터노아바이오텍은 올해 안에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글로벌 임상 2상 진입을 위한 임상시험 사전미팅(Pre-IND)을 진행할 예정이다. NDC-002는 닥터노아바이오텍이 자체 개발한 ARK platform (인공지능 기반의 의약품 개발 플랫폼)으로부터 시작된 인공지능 기반 복합 신약이다. 회사에 따르면 NDC-002는 신경염증을 줄여 뇌손상을 줄임과 동시에 손상된 뇌부분의 뇌신경세포 분화 및 회복을 촉진시킴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회복을 도울 수 있다. NDC-002의 임상 1상은 건강한 성인 지원자를 대상으로 NDC-002A/NDC-002B와 NDC-002C의 약물 상호 ...

MORE ABOUT US

[AI 신약개발 점검] 닥터노아바이오텍, 복합제 개발로 캐시카우 마련한다

⑤뇌졸증 타깃 'NDC-001' 임상 1상 진행…근감소증 치료제 개발도 도전[편집자주]2018년 알파고 이슈로 인공지능(AI)이 주목받자 제약업계에도 AI를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인공지능을 통해 신약개발 기간을 단축하려는 AI 기반 회사가 속속 나타났다. 블록버스터 약물을 개발한 경험이 있는 글로벌 제약회사들은 AI 신약개발 회사들과 협업을 통해 R&D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AI 기반 신약개발기업이 속속 창업하며 이들간 협업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AI 신약개발의 현주소와 국내 기업들의 성과를 점검해 본다.이 기사는 2023년 06월 01일 15:51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닥터노아바이오텍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신약 재창출 전략으로 뇌졸중 복합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를 ...

MORE ABOUT US

베스티안 재단, 제15회 바이오 혁신 세미나 개최

제약바이오분야 인공지능 연구개발기업 7개사 주제발표... 인공지능분야 13개 기업과 네트워킹 가능(재)베스티안재단이 오는 15일 ‘인공지능(AI)’를 주제로 제15회 바이오 혁신 세미나를 세종시티 오송호텔 2층 리치홀에서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교육부RIS 사업의 일환으로 충북바이오헬스산업혁신센터와 정밀의료·의료기기사업단이 주최하고 (재)베스티안재단이 주관 하며 ‘혁신 의료기기 살롱’이 후원한다.이번 세미나는 ‘인공지능’를 주제로 발표와 네트워킹로 구성이 된다. 이번 세미나는 온라인(줌) 참여도 가능하다.첫 번째 발표는 ‘Hyperlab: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라는 주제로 히츠 임재창 공동창업자(연구팀장)가 발표한다.두 번째 발표는 ‘Pharm CADD, AI & Quantum Physics-Based Drug Discovery’라는 주제로 팜캐드 황진 ...

MORE ABOUT US

닥터노아바이오텍, 뇌졸중 치료제 NDC-002 임상 1상 IRB 승인

내년 1상 완료 목표 국내 첫 인공지능 기반 복합신약 임상시험 개시지난 4월 식약처로부터 임상 1상 시험계획을 승인 받은 닥터노아바이오텍의 뇌졸중 치료제 NDC-002가 국내 임상 1상 시험을 시작한다.닥터노아바이오텍(대표이사 이지현)은 자체 AI 플랫폼 (ARK platform)을 이용해 개발한 국내 첫 인공지능 기반 복합신약 뇌졸중 치료제, NDC-002의 임상 1상 시험에 대한 메트로병원 임상연구심의위원회(IRB)의 승인을 지난 1일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메트로병원 IRB 승인으로 닥터노아바이오 ...

MORE ABOUT US

[2022 BIO JAPAN]

이정옥 사업본부장 "올해 5월 확대개편, R&D와 수익사업 동반성장 목표"AI 플랫폼으로 신약을 개발하는 닥터노아바이오텍은 올해 5월 사업본부를 확대개편하는 인사를 단행했다. 사업본부는 'R&D 바이오텍도 매출을 내야 한다'는 창업주 이지현 대표의 철학에 따라 수익성 확보를 위한 사업전략을 구상하는 조직이다.닥터노아바이오텍은 2022 바이오 재팬을 사업본부 개편 후 대외 홍보의 데뷔무대로 삼았다. 이정옥 사업본부장(사진 가운데)과 정창현 사업개발팀장(사진 왼쪽), 김혜령 사업기획팀장(사진 오른쪽)이 현장에 참가해 빅파마들을 대상으로 AI 플랫폼의 파트너링을 진행했다. 이 본부장을 통해 닥터노아바이오텍의 일본 근감소증 시장 진출을 비롯한 세부 사업개발 전략을 들어봤다.-확대 개편을 마친 사업본부를 간단하게 소개하 ...

MORE ABOUT US

시리즈B 마친 닥터노아바이오텍, AI로 뇌졸중 복합제 도전

임상 1상 국내 IND 승인, 이지현 대표 "사업본부 신설해 수익모델 고도화"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기업 닥터노아바이오텍은 최근 139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마무리했다. 전략적투자자(SI)로 AI 기반 오가노이드 개발 기업 그래디언트를 비롯해 재무적투자자(FI)로 △씨케이디창업투자 △엘앤에스벤처캐피탈 △유안타인베스트먼트 △패스파인더에치 △한국벤처투자 등이 참여했다. 회사는 조달 자금을 바탕으로 유의미한 매출을 낼 수 있는 수익모델을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더벨은 이지현 닥터노아바이오텍 대표를 만나 회사의 AI 기반 신약개발 전략을 들어봤다.2016년 설립된 닥터노바이오텍은 컴퓨터사이언스와 약학을 전공한 이지현 대표가 이끌고 있는 AI 기반 신약개발 회사다. 뇌졸중 신약 후보물질 'NDC-002'를 비롯해 △NDC-011(근위축성 ...

MORE ABOUT US

\'AI 신약개발\' 닥터노아바이오텍, 139억 시리즈B 완료

SI로 그래디언트 참여…후속 파이프라인 전임상·AI 시스템 해외마케팅 추진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기업 닥터노아바이오텍이 시리즈 B를 마무리했다. AI로 발굴한 복합제 신약 후보물질 임상과 AI 솔루션 해외 마케팅에 주력할 계획이다.닥터노아바이오텍는 최근 시리즈 B 펀딩을 통해 139억원을 조달했다. 전략적투자자(SI)로 AI 기반 오가노이드 개발 기업 그래디언트가 참여했다. 재무적투자자(FI)로는 씨케이디창업투자, 엘앤에스벤처캐피탈, 유안타인베스트먼트, 패스파인더에치, 한국벤처투자가 있다.이번 펀딩은 시리즈 A 펀딩 이후 2년만이다. 2018년 시드 및 프리 시리즈 A로 18억원을, 2020년 8월 시리즈 A로 45억원을 펀딩받았다. AI 의료 전문기업 제이엘케이(JLK)로부터 1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는 점도 주목받았다. 시리즈 B 펀딩 포함 ...

MORE ABOUT US

닥터노아바이오텍, 뇌졸중 치료제 국내 1상 승인

AI 플랫폼 기반 발굴·이중기전 후보물질 본임상 첫 승인 사례닥터노아바이오텍이 AI 플랫폼으로 발굴한 뇌졸중 치료제 후보물질 'NDC-002' 임상 1상 임상시험계획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 회사는 인공지능(AI) 신약 발굴 플랫폼으로 신경계(CNS) 질환 등의 치료제를 개발 중인 바이오벤처다. 이번 IND 승인으로 국내에서 AI로 개발한 치료제 후보물질의 첫 임상진입 사례가 탄생했다.닥터노아바이오텍은 'NDC-002'를 뇌졸중에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복합신약을 개발 중이다. 'NDC-002'는 신경염증을 줄여 뇌손상을 줄이는 것과 손상된 뇌신경세포 분화를 촉진하는 두 가지 기전을 가지고 있다.뇌졸중은 아직 1차 처치를 받고 난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는 약물 치료법이 없다. 급성 뇌졸중 시 혈전용해제가 처방돼 투여되지만 근본 치료법 ...

MORE ABOUT US

CONTACT

Direction

(16229)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 256번길 91, 에이스광교타워2 1208호
(16229) ACE Gwanggyo Tower2 1208Ho, 91, Changnyong-daero 256beon-gil, Yeongtong-gu, Suwon-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